[국회도서관 FACTBOOK]
‘디지털 헬스’ 분야 현황부터 정책 동향까지...
「디지털 헬스」한눈에 보기
국회도서관, 팩트북 2021-3호(통권 제87호) 「디지털 헬스」발간
'디지털 헬스' 분야 국내·외 정책 동향 및 관련 산업 전망
최근 디지털 헬스 분야가 성장하면서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국회도서관은 4월 26일 「디지털 헬스」 팩트북을 발간했습니다.
디지털 헬스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개인 건강과 질병을 관리하는 분야 및 기술을 의미하는데요. 이러한 기술의 발달로 콘택트렌즈 착용만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으며, 진단키트에 침만 뱉어서 보내면 DNA를 분석해 내가 어떤 질병에 취약한지, 미래에 탈모가 생길지 등을 유전자검사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는 '디지털 헬스'를 스마트시티, 모빌리티, AI와 함께 2021년 4대 키워드로 선정했습니다. 앞으로 디지털 헬스 산업은 향후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번 「디지털 헬스」 팩트북에는 디지털 헬스 분야 현황 및 국내·외 정책 동향 등이 정리돼 있습니다.
현진권 국회도서관장은 “디지털 헬스 기술이 가져오는 미래 의료서비스 변화가 우리 삶을 어떻게 바꿔 나갈지 기대와 우려가 공존한다”면서 “이 팩트북이 디지털 헬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입법 및 정책을 검토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디지털헬스#FACTBOOK#팩트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