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키워드로 살펴보는’ 국회도서관 주요서비스
국회도서관은 입법, 정책, 학술분야의 다양한 자료를 디지털화하고, 이를 국회전자도서관을 통해 국회와 국민에게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의성과 전문성을 강화한 의회·법률정보서비스를 추진하고,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정보서비스를 제공하여 미래를 준비하는 의회도서관으로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국회와 국민을 위한 국회도서관의 주요서비스를 키워드로 함께 살펴볼까요.
키워드 1 #의회정보서비스
국회도서관은 의회도서관의 핵심서비스인 의회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회의원의 입법 및 정책심의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조사·검색·번역하여 제공하는 의회정보회답을 비롯하여 입법정보의 발간,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의성 있는 주제를 선정, 관련 사실정보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한눈에 보기 시리즈’로 발간하는 「팩트북(Fact Book)」을 비롯하여 정책현안과 관련한 국외의 최신 이슈 정책사례를 조사하여 수록한 「현안, 외국에선?」 등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의회정보자문단을 설치하여 의회정보서비스의 전문성 강화 및 발전 방안에 대한 자문을 받는 등 의회정보서비스의 내실을 기하고 있습니다.
키워드 2 #법률정보서비스
국회도서관은 국회의원의 입법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국내외 법률에 대한 맞춤형 조사회답서비스를 제공하고,
「최신외국입법정보」,「현안입법 알리기」 등의 자료를 발간하고 있으며,
최신 법률정보를 알기 쉽고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법률뉴스레터 ‘World&Law’를 메일링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회법률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국회와 국민에게 전문적이고 친숙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AI 일본법 자동번역 서비스, 질의응답(Q&A) 기반의 지능형 법률검색서비스 등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미래도서관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키워드 3 #전자정보서비스
국회도서관은 입법, 정책, 학술분야의 다양한 자료를 디지털화하고, 이를 국회전자도서관을 통해 국회와 국민에게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국회도서관이 디지털화한 자료는 약 3억 5000만 면으로, 이러한 방대한 디지털 데이터와 다양한 서비스가 중단 없이 원활하게 국민들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시스템 개선과 인프라 확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지능형 의회정보 융합분석 서비스인 아르고스(Argos)와 누구나 자유롭게 융합 분석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인 국가학술정보 클라우드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등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전환 시대에 부합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키워드 4 #정보봉사서비스
국회도서관은 국회와 국민을 위한 다양한 정보봉사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사회과학자료실, 인문·자연과학자료실, 정기간행물실, 디지털정보센터, 독도·통일자료실 등 각 열람실에서는 정보검색, 열람봉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주말 개관과 야간개관을 통해 열람시간을 확대하여 국회도서관 소장자료의 이용 극대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디지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구독형/소장형 전자책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전자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환경에 대응하고 중장기적 국가전략의 정보를 한눈에 살필 수 있도록 국회도서관 1층에 국가전략정보센터를 개실할 예정입니다.
키워드 5 #기록정보서비스
국회도서관은 국회사무처 등 국회 소속기관에서 업무와 관련하여 생산 또는 접수한 공공기록물과 국회의원기록물, 정당기록물, 민간기록물 등 의정활동과 관련하여 수집한 기록물을
콘텐츠로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회 외부의 이용자도 온라인 열람신청을 통해 국회기록보존소 소장 기록물에 대한 열람이 가능하도록 이용자 중심의 기록물
열람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국회기록물을 활용한 온라인 신규 콘텐츠를 제작하여 서비스하고 있으며, 「홍진 임시의정원 의장 기념 전시실」 및
「국회의장 선물 전시 공간」 상설전시실을 운영하고,
국회기록보존소 소장 기록물과 기증 기록물 등을 활용한 기획전시를 병행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국회의장단 구술총서 등 국회의 역사와 의정활동을 연구하는 데 입체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발간자료 등을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국회기록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