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70년사」 발간]
국회와 국민이 함께한 국회도서관 70년
7개의 서가에서 750만 장서에 이르는 국회도서관 70년 역사를 한 권에 담아
도서관 70년 발자취를 자세한 설명과 인포그래픽‧사진 등과 함께 수록
국회도서관은 개관 70주년을 맞이하여 7월 29일 국회도서관의 70년 역사와 발자취를 담은 「국회도서관 70년사」를 발간했습니다.
국회도서관은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2월 20일 임시수도 부산에서 장서 3,600여 권과 직원 1명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이후 70년이 지난 오늘날 390여 명의 직원과 750만여 권의 장서, 3억 5000만 면의 원문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한 대한민국 대표도서관이자 의회도서관으로 성장했습니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양질의 지식정보를 국회와 국민에게 제공하는 디지털 도서관으로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지난 3월에는 국회도서관 최초의 분관인 국회부산도서관을 개관해 지방의정서비스의 중심이자 지역정보센터로서 역할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국회도서관 70년사」는 이와 같은 지난 70년간의 국회도서관 변화와 성장을 총 8개 파트로 나누어 소개하고 있습니다.
Part 1 국회도서관 70년의 흐름
Part 2 입법정보지원 서비스의 고도화
Part 3 인공지능·디지털 전환을 통한 도서관 혁신
Part 4 대국민 지식정보 지원을 위한 정보자원의 확대
Part 5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복합 문화공간
Part 6 지식과 문화의 지역균형발전 중심추, 국회부산도서관
Part 7 글로벌 정보교류를 선도하는 협력 네트워크
Part 8 국회도서실에서 국회도서관까지: 인사·재정·시설
국회 내 국회도서실 설치를 처음 결의한 '국회도서실 설치에 관한 결의안'(1951년), 태평로 시절의 열람실 모습, 입법부 내 독립기관의 위상을 가지게 된 '국회도서관법' 제정(1963년), 1988년 독립건물을 가지게 된 국회도서관의 당시 건물 조감도, 개관 70주년을 맞아 열린 기념식과 기념행사 등 국회도서관의 70년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사진, 인포그래픽, 도표 등을 함께 수록했습니다.
또한 국회도서관의 발전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연혁부터 기능 및 조직의 변천, 의회정보서비스, 법률정보서비스, 정보봉사서비스 등 도서관 주요서비스와 국회전자도서관의 구축과정, 교육‧문화 프로그램, 상설‧기획전시 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도 담겨 있습니다.
이밖에도 국회도서관의 첫 지역 분관인 국회부산도서관의 건립부터 개관에 이르기까지 상세한 내용이 수록돼 있습니다.
국회도서관은 「국회도서관 70년사」 발간이 소중한 과거를 기록함은 물론 국회와 국민을 위한 새로운 시작의 단초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70년사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