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책이야기
신간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우리시대 질문총서>는 기술·환경·휴머니즘·지역(부산) 등 우리 앞의 현실에 대한 성찰을 제공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추진됐다. 우리 세계의 변화를 미시적이고 거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학문적 시각을 제공하는 한편, 도래할 세계와 지난간 미래의 쌍방향적 대화와 성찰을 통해 우리시대를 비판적으로 반성하고 예견하는 문제적 활동을 기획· 소개한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 아래 융합환경에서 정책결정과정의 변화와 전망에 관한 분석을 전개해 나갈 것이다. 첫째, 무엇보다 먼저 디지털 컨버전스의 기술진화가 정책결정과정에 어떤 근본적 변화를 야기하는지를 제대로 이해하여 그 변화상을 종합하는데 일차적인 저술의 목적을 둘 것이다. 둘째, 이 책을 통해 디지털 컨버전스의 기술진화가 야기하는 정책결정과정의 변화가 현대 민주주의 및 거버넌스의 이론적 시각에서 어떤 함의를 제공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노력할 것이다. 셋째, 디지털 컨버전스의 기술진화에 따른 정책결정과정의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여 그러한 변화가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효과를 극대화해 낼 수 있게 하려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찾고자 노력할 것이다. 넷째, 디지털 컨버전스의 기술진화가 계속될 경우 새롭게 조성되는 융합환경은 정책결정과정에 어떤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 낼 것인가를 전망해 볼 것이다. 끝으로, 이 책을 통해 디지털 컨버전스의 기술진화에 힘입어 새롭게 나타나는 소통의 도구는 물론 초기 인터넷 시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의 등장이 공공영역에서의 정책의 생산과 소비 과정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지, 공공정책의 영역에서 어떠한 경쟁과 협력 관계를 새롭게 창출해 내는지를 정책행위자들의 경쟁전략과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발간사 13 책을 내며 제1장 들어가며 제2장 디지털 융합 기술의 진화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1. 과학기술과 인류문명 2. 인터넷 기술의 진화와 커뮤니케이션의 발달 3. 웹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 미디어 4. 디지털 융합기술의 진화 5.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6.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구체적인 기술들 제3장 4차 산업혁명 시대 다중의 탄생과 사회 변화 1. 디지털 기술과 시민 2. 디지털 컨버전스의 기술진화와 유비쿼터스 디지털 노마드 (Ubiquitous Digital Nomad)의 출현 3. 디지털 컨버전스 기술진화와 커뮤니케이션 패턴 변화 4. 4차 산업혁명과 다중과 다중운동의 등장 5.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다중의 사회운동: 다중운동 제4장 다중사회의 새로운 사회변화(1): 정치과정의 변화와 시민참여 1. 근대 산업사회의 대의제 정당민주주의의 정치과정 2.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정치과정에의 영향 3. 다중사회의 새로운 정치과정 4. 다중사회의 정치과정에서 시민참여의 특색 5. 다중사회의 새로운 정치과정을 보여주는 해외사례들 6. 다중사회 새로운 정치과정의 국내 사례 제5장 다중사회의 새로운 사회변화(2): 정책과정의 변화와 시민참여 1. 디지털 컨버전스의 기술진화와 정책 요소 및 환경의 변화 2. 디지털 컨버전스의 기술진화와 정책 결정구조 3.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모형화의 문제 4. 융합 환경에서의 정책결정모형 도출 5. 디지털 기술의 진화와 정책과정에의 영향 제6장 다중사회의 새로운 사회변화(3): 사회운동의 변화와 시민참여 1. 근대 산업사회의 사회운동의 원리와 이론 2. 인터넷 기술의 진화와 사회운동의 변화 제7장 4차 알고리즘 민주주의와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 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사회변화 2. 다중사회의 등장 3. 알고리즘 민주주의 4. 알고리즘 민주주의의 명과 암 5. 알고리즘의 작동이 한국 민주주의 확장에 주는 시사점 6. 지방자치에의 함의 제8장 나오며 미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