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책이야기
신간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제복에서 부채까지, 당시 유행하던 패션의 구체적인 모습을 200여 개의 도판과 함께 생생하게 들려주는 이 책은 독자들로 하여금 근대 동아시아의 패션 문화를 시각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었던 근대 동아시아의 역사를 새롭게 해석하게 한다.
한국어판 서문감사의 말01 패션, 근대를 외치다 변경희·아이다 유엔 웡Part 1 의복과 제복02 옷차림으로 보는 메이지유신-‘복제’라는 시각 오사카베 요시노리03 한국의 근대 복식정책과 서구식 대례복의 도입 이경미04 위안스카이의 『제사관복도』에 나타난 제례복, 그리고 제국에 대한 야망 아이다 유엔 웡05 교복의 탄생-근대화를 촉진한 일본의 교복개혁 난바 도모코06 거리에 노출된 권력의 표상-근대 한국과 일본의 경찰복 노무라 미치요Part 2 장신구07 근대 한국의 서양 사치품 수용에 나타난 성차 주경미08 머리 모양에서 머리 장식으로-1870~1930년대의 ‘량바터우’와 만주족의 정체성 게리 왕09 여성의 장신구, 부채-중화민국 시기의 패션과 여성성 메이 메이 라도Part 3 직물10 외국풍의 유행-청대 후기 복식에 나타난 양모섬유 레이철 실버스타인11 양모 기모노와 ‘가와이이’ 문화-일본의 근대 패션과 모직물의 도입 스기모토 세이코12 하이브리드 댄디즘-동아시아 남성의 패션과 유럽의 모직물 변경희Part 4 의복 양식13 근대식 복장의 승려들-일본인이자 아시아인이라는 딜레마 브리지 탄카14 시각문화로 읽는 20세기 타이완의 패션 쑨 춘메이15 의복, 여성의 완성-‘청삼’과 20세기 중국 여성의 정체성 샌디 응주도판목록 및 정보참고문헌더 읽을거리연표저자 소개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