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책이야기
신간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자율주행차, 추천 알고리즘, 킬러로봇 등 기술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에 대한 윤리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단순한 기술 허용 여부의 논의를 넘어, 우리가 추구하는 좋은 삶, 더 훌륭한 인간이라는 목적 달성에 기술이 어떻게 기여하고 또 방해물이 될 수 있는지의 문제까지 깊이 다룬다.
감사의 말 5한국어판 서문 8서문 141. 윤리적 관점에서 기술이란 무엇인가?1.1 검은 숲의 오두막 291.2 기술에 대한 물음: 마르틴 하이데거에서 조안나 브라이슨에 이르는 도구적 기술 이론 331.3 ‘포스트현상학’과 기술 매개 이론 391.4 단순한 수단이나 도구 이상으로 생각되는 기술 461.5 도덕적 행위자로 간주되는 기술 491.6 도덕적 피동자로 간주되는 기술 531.7 이후 더 자세히 논의될 몇 가지 주요 기술 유형 57* 주석 달린 참고문헌 652. 윤리란, 특히 기술윤리란 무엇인가?2.1 두 개의 캠페인 672.2 고대 그리스의 덕과 인간 번영의 윤리학 722.3 고대 중국의 유가 윤리와 남아프리카의 전통 우분투 윤리 782.4 칸트 윤리학 852.5 공리주의와 결과주의 윤리 이론 892.6 일반적으로 윤리가 이전 절에서 논의된 모든 것을 포괄한다면, 과연 윤리가 특별히 기술윤리와 관련해 지니는 의미는 무엇일까? 962.7 어떻게 기술윤리는 더 일반적인 윤리 이론의 확장에 도전하고 그 필요를 창출할 수 있는가 100* 주석 달린 참고문헌 1043. 기술윤리의 방법: 사례 연구로서 자율주행차의 윤리3.1 윤리학 방법론? 1053.2 자율주행차의 윤리 1083.3 위원회의 윤리 지침 1133.4 유비를 통한 윤리: 트롤리 문제와의 비교 1163.5 경험윤리 1203.6 전통적인 윤리 이론의 적용 1263.7 기술윤리를 위해 우리는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가? 오직 한 가지 방법? 아니면 여러 방법? 135* 주석 달린 참고문헌 1414. 인공지능, 가치 정렬, 그리고 통제 문제4.1 핵전쟁 회피 사례 1434.2 인공지능은 무엇이며 가치 정렬이란 또 무엇인가? 1474.3 좋거나 나쁜, 그리고 도구적이거나 비도구적인 가치와 원칙들 1534.4 도구적으로 긍정적인 가치 정렬 1574.5 도구적으로 부정적인 가치 오정렬 1604.6 비도구적으로 긍정적인 가치 정렬 1644.7 비도구적으로 부정적인 가치 오정렬 1694.8 통제 문제 1724.9 가치로서의 통제: 도구적 또는 비도구적? 통제하려고 해서는 안 되는 기술도 존재할까? 178* 주석 달린 참고문헌 1825. 행동 변화 기술, 게임화, 개인 자율성, 그리고 통제의 가치5.1 더 나은 나? 1845.2 행동 변화 기술과 게임화 1885.3 통제에 관한 세 가지 관찰 1935.4 다양한 철학 분야에서 논의된 통제의 핵심적 차원들 1965.5 행동 변화 기술 그리고 통제 ‘주체’와 통제 ‘대상’ 2015.6 통제의 가치와 윤리적 중요성 2165.7 이 장의 결론 212* 주석 달린 참고문헌 2146. 책임과 기술: 틈을 조심하라고?6.1 두 사건 2166.2 책임이란 무엇인가? 사람들이 책임을 지게 되는 다양한 방식과 대상들 2206.3 책임 공백: 개요 2256.4 기술로 인한 책임 공백 2316.5 자발적 책임을 통한 책임 공백 메우기 2386.6 책임 공백을 환영해야 할까? 2416.7 책임질 수 있는 기계? 2466.8 인간-기계의 협동 그리고 책임 2536.9 이 장의 결론 257* 주석 달린 참고문헌 2587. 기계는 도덕적 행위자가 될 수 있을까? 모든 기계는 도덕적 행위자가 되어야 할까?7.1 기계윤리 2607.2 기계윤리를 지지하는 논증과 인공적 도덕 행위자의 유형 2647.3 기계윤리 프로젝트에 대한 반론 2687.4 기계윤리 프로젝트 비판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들 2837.5 이 장의 결론 293* 주석 달린 참고문헌 2958. 로봇은 도덕적 지위를 지닌 도덕적 피동자가 될 수 있는가?8.1 테슬라봇과 에리카 2978.2 휴머노이드 로봇이란 무엇인가? 왜 사람들은 휴머노이드 로봇을 만들고자 하는가? 3038.3 사람들이 로봇에 대해 옳거나 그르게 행동하는 것은 가능한가? 3108.4 로봇은 도덕과 관련된 속성 혹은 능력을 지닐 수 있는가? 3148.5 로봇은 도덕과 관련된 속성 혹은 능력을 모방하거나 흉내 낼 수 있는가? 3218.6 로봇은 도덕과 관련된 속성 혹은 능력을 표상하거나 상징할 수 있는가? 3268.7 우리는 로봇이 도덕적 지위를 갖는 도덕적 피동자일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해야만 하는가, 아니면 그러지 않는 편이 더 나은가? 334* 주석 달린 참고문헌 3429. 친구, 연인, 동료로서의 기술9.1 레플리카, 척, 하모니 그리고 부머 3459.2 친구, 연인, 동료서의 기술과는 독립적인 맥락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쟁점들 3499.3 친구로서의 기술 3549.4 연인 혹은 연애 파트너로서의 기술 3599.5 로봇 동료 3679.6 모 아니면 도? 다양한 관점에 대한 존중 3739.7 기술이 열어 갈 관계의 미래 377* 주석 달린 참고문헌 38210. 기계와의 융합: 인간-기술 관계의 미래10.1 경험 기계 38410.2 다양한 기술과의, 혹은 기술의 도움을 받은 융합 방식 39010.3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우리는 사이보그가 되어야 하는가, 혹은 이미 사이보그인가? 39510.4 기술과의 융합에 대한 비판적 성찰 40110.5 결론을 내리며: 검은 숲의 오두막 다시 방문하기 408* 주석 달린 참고문헌 417역자 후기 419색인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