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책이야기
신간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노화를 단순한 자연 현상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조절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보고, AI, 유전체 분석, 나노 기술, 디지털 트윈 등의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하여 인간의 수명뿐 아니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의 고령층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방식과 이로 인한 산업적 변화를 소개하며, 노화가 더 이상 사회의 부담이 아닌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여는 글: 회색 쓰나미가 아니라 금빛 물결이 되어야 한다1장. AI가 이끄는 바이오 혁신의 시대AI와 바이오의 만남, 무엇이 달라지고 있을까?AI 기반 의료 혁신과 노화 경영의 시대수십 년에서 수개월로 단축된 신약 개발유전체학으로 완성하는 내 몸에 꼭 맞는 맞춤 치료의료 혁신을 이끄는 세 가지 키워드2장. 과학이 설계하는 수명 연장의 청사진영존의 과학, 존엄한 수명을 설계하다텔로미어를 조절하면 정말 늙지 않을 수 있을까?대사 조절, 노화를 늦추는 또 다른 방법호르몬 요법, 몸속 시계를 되돌릴 수 있을까?늙은 세포를 제거하면 젊음이 돌아올까?3장. 재생의학 죽어 가는 세포에 생명을 불어넣다줄기세포와 복제 기술, 노화에 맞서는 생명공학생명과학이 다시 쓰는 노화의 시간표혈액 속에 숨은 회복의 비밀을 찾다생명을 출력하는 시대, 장기를 3D 프린트하다4장. 뇌신경과학, 치매 없는 세상은 가능한가?뇌과학이 말하는 건강한 노화의 조건뇌 가소성, 인지 능력을 되살릴 수 있을까?잃어버린 뇌 기능, 회복의 실마리를 찾다생각으로 기기를 조종하는 시대, BCI의 도래5장. 엑소스켈레톤, 시니어의 삶을 바꾸다고령화 시대, 걷고 움직일 자유를 되찾다작고 똑똑한 엑소스켈레톤, 일상에 혁신을 입히다창조하는 시니어를 만드는 엑소스켈레톤의 진화엑소스켈레톤이 구현하는 자율의 기술자율주행차와 엑소스켈레톤이 만드는 시니어의 자유6장. 생명공학으로 다시 쓰는 노화와 장수의 경계 생명과학으로 노화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유전자를 자르는 가위, 인간의 수명을 디자인하다 유전자 맞춤 시대, 노화의 경계를 허물다암 정복을 이끄는 CAR-T 세포 치료법생명을 조립하는 기술, 합성생물학유전자에서 찾는 젊음과 장수의 가능성유전자를 다루는 시대, 윤리를 묻다7장. 나노 기술, 몸속으로 들어간 의사몸속 깊이 들어온 나노 기술나노 로봇과 표적 약물 전달 시스템내 몸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나노 센서DNA를 조립해 생명을 설계하는 시대8장. 디지털 의식 시대, 인간은 어디로 가는가?의식을 저장하고 확장하는 시대양자 컴퓨팅으로 여는 신경 인터페이스의 세계의식의 디지털화가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디지털 존재로 확장된 인간9장. 디지털 공생 기술, 인간을 다시 설계하다디지털 공생, 창조적 노화의 길을 열다기술과 함께 진화하는 노화의 풍경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몸과 하나가 된 기술AR과 VR이 확장하는 시니어의 감각과 경험몸속으로 들어간 기술, 생체 임플란트의 가능성10장. K-시니어와 휴먼 플랫폼 혁명디지털 플랫폼이 여는 K-시니어의 새로운 역할고령화에 맞서는 기술 플랫폼의 진화세대 격차를 넘어 연결되는 사회한국형 시니어 기술 모델,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닫는 글: 불멸을 꿈꾸는 시대, 인간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참고 문헌 및 출처사진 및 일러스트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