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책이야기
신간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한국 사회의 교통 문제를 단순한 교통망 부족이 아닌 ‘도시 구조의 실패’에서 비롯된 문제로 진단한다. 한국인은 OECD 평균보다 30분이나 더 긴 출퇴근 시간을 감내하고 있으며, 이는 저출산, 장시간 노동, 내수 침체 등 사회 전반의 위기로 연결된다. 왜 현재의 도시 구조가 비효율적인지 분석하며, 교통 편의성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구조적 대안들을 제시한다.
차례머리말제1장 한국의 이동 경제 보고서, 그리고 코로나19제2장 교통이 편리한 도시는 어떤 도시인가?1 교통과 경제적 기회2 대중교통은 왜 필요한가?3 대중교통 구축이 쉬운 도시의 구조4 집적된 도심과 이동 비용부록 2A. 전기차와 이동성 간의 관계부록 2B. 자율 주행 기술과 이동성의 관계제3장 어그러진 도시1 적은 양질의 일자리 문제2 산업 단지의 개별 입지 문제3 과도하게 분산된 서울의 도시 구조 문제4 수도권 내의 강남 접근성 문제5 전국 단위의 강남 접근성 문제6 서울의 문제가 반복되는 지방 대도시7 어그러진 도시는 어떻게 만들어졌나부록 3A. GTX는 출퇴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부록 3B. 용적률 규제 완화는 출퇴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부록 3C. 런던, 워싱턴, 마드리드, 오사카의 개략적인 도시 구조제4장 어그러진 도시의 삶1 개인 활용 시간 감소2 구조적 성차별의 강화, 그리고 저출생3 시민 건강의 악화4 도시의 서비스업 영세화5 지방 도심 공동화부록 4A. 어그러진 도시와 예비타당성조사부록 4B. 적정한 교통 요금의 문제제5장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