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 이미지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국회도서관 홈으로 책이야기 신간 금주의 신간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어그러진 도시 : 무엇이 우리의 출퇴근을 힘들게 하나 표지

  • 어그러진 도시
  • - 저자 : 김지수 지음
  • - 발행사항 : 한울엠플러스(2025)
  • - 청구기호 : 388.4 -25-8

도서요약정보

한국 사회의 교통 문제를 단순한 교통망 부족이 아닌 ‘도시 구조의 실패’에서 비롯된 문제로 진단한다. 한국인은 OECD 평균보다 30분이나 더 긴 출퇴근 시간을 감내하고 있으며, 이는 저출산, 장시간 노동, 내수 침체 등 사회 전반의 위기로 연결된다. 왜 현재의 도시 구조가 비효율적인지 분석하며, 교통 편의성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구조적 대안들을 제시한다.

목차

차례

머리말

제1장 한국의 이동 경제 보고서, 그리고 코로나19

제2장 교통이 편리한 도시는 어떤 도시인가?
1 교통과 경제적 기회
2 대중교통은 왜 필요한가?
3 대중교통 구축이 쉬운 도시의 구조
4 집적된 도심과 이동 비용
부록 2A. 전기차와 이동성 간의 관계
부록 2B. 자율 주행 기술과 이동성의 관계

제3장 어그러진 도시
1 적은 양질의 일자리 문제
2 산업 단지의 개별 입지 문제
3 과도하게 분산된 서울의 도시 구조 문제
4 수도권 내의 강남 접근성 문제
5 전국 단위의 강남 접근성 문제
6 서울의 문제가 반복되는 지방 대도시
7 어그러진 도시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부록 3A. GTX는 출퇴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부록 3B. 용적률 규제 완화는 출퇴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부록 3C. 런던, 워싱턴, 마드리드, 오사카의 개략적인 도시 구조

제4장 어그러진 도시의 삶
1 개인 활용 시간 감소
2 구조적 성차별의 강화, 그리고 저출생
3 시민 건강의 악화
4 도시의 서비스업 영세화
5 지방 도심 공동화
부록 4A. 어그러진 도시와 예비타당성조사
부록 4B. 적정한 교통 요금의 문제

제5장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