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책이야기
신간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민주화 이후 한국 대통령의 리더십을 사례별로 분석하며, 국정 운영의 실패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정치 시스템 전반의 구조적 한계에서 비롯되었음을 짚는다. 저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려면 권위적 명령형 리더십이 아니라, 설득과 조율을 중심에 둔 통합적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프롤로그 1. 진보정치 이상과 사람사는 세상 리더십: 노무현 정부참여민주주의와 정치개혁검찰개혁, 언론개혁 성장과 복지세종시 이전과 국가균형발전한미관계와 한미 FTA남북정상회담과 평화협력의 대북관계국정리더십 대담 1: 정세균소결 2. 불도저 리더십의 성과주의와 중도 실용: 이명박 정부한미 쇠고기협상 타결과 광우병 사태한미동맹 복원과 FTA의 완성원칙 있는 대북정책과 천안함·연평도 도발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원전 수출국 등극과 자원외교우여곡절의 4대강 사업과 세종시 수정안대통령의 자기평가: 이명박 대통령국정리더십 대담 2: 박재완소결 3. 원칙·신뢰의 리더십과 불통·분열 사이: 박근혜 정부신뢰받는 정부와 탄핵 사태소통 부재와 보수의 분열원칙이 바로 선 시장경제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연금·노동 개혁국민이 안전한 나라와 사회통합한반도 신뢰프로세스국정리더십 대담 3: 유일호소결 4. 진영의 정치·팬덤 리더십과 양극화: 문재인 정부국민주권의 촛불민주주의 실현소득주도성장론과 확장적 재정정책신재생 에너지 확대와 탈원전 정책투기억제형 부동산 정책과 집값 상승한반도 평화프로세스와 남북정상회담국정리더십 대담 4: 정세균소결에필로그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