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만 기다려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22대 대한민국 국회
국회정보길라잡이
국회의원검색
키워드
검색
로그인
English
국회도서관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Web-DB
오픈액세스 저널
학술연구자정보
국가학술정보
지식공유
디지털콘텐츠식별체계
입법지원서비스
의회법률정보포털
국가전략정보포털
국회의원 정책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AI시사분석 아르고스
국회지방의회의정포털
국회기록정보
발언 빅데이터
독도홈페이지
책이야기
금주의 서평
신간
월간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 웹진
국회의원 추천도서
전자책·오디오북
북 큐레이션
영상 큐레이션
이용자마당
공지사항
이용안내
문화행사
신청 및 예약
납본·기증
Open API
게시판
도서관소개
국회도서관
개방·공유
자료실
오시는 길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Web-DB
오픈액세스 저널
학술연구자정보
국가학술정보
지식공유
디지털콘텐츠식별체계
입법지원서비스
의회법률정보포털
국가전략정보포털
국회의원 정책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AI시사분석 아르고스
국회지방의회의정포털
국회기록정보
발언 빅데이터
독도홈페이지
책이야기
금주의 서평
신간
금주의 신간
국내 주간지 기사
외국도서관 기증자료
월간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 웹진
국회의원 추천도서
전자책·오디오북
북 큐레이션
영상 큐레이션
이용자마당
공지사항
이용안내
이용대상 및 시간
이용 제한 자료
장애인 이용
출입절차 및 준수사항
모바일 서비스
이용안내 리플릿
문화행사
신청 및 예약
디지털정보센터 좌석예약
야간 자료이용
비치희망도서신청
자료복사
메일링 서비스
참관
납본·기증
납본
기증
자료수집정책
Open API
게시판
자주하는 질문
묻고답하기
자유게시판
납본·기증
납본
기증
자료수집정책
Open API
게시판
자주하는 질문
묻고답하기
자유게시판
도서관소개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장
조직 및 업무
개방·공유
발간자료
소장현황
사이버 홍보실
한국학술정보협의회
한국학술정보협의회
제23차 정기총회 및 콘퍼런스
협정체결절차
협의회 및 협정기관 소개
정보공개
업무추진비
관계법규
자료실
오시는 길
My Library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모바일 간편열람증
닫기
HOME
입법지원서비스
정보검색
입법지원서비스
책이야기
이용자마당
도서관소개
My Library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의회법률정보포털
국가전략정보포털
국회의원 정책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AI시사분석 아르고스
국회지방의회의정포털
국회기록정보
발언 빅데이터
독도홈페이지
프린트
공유하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입법지원서비스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상세화면으로 제목, 기관명, 보도일, 첨부파일로 구성
제목
최근 3년간 17개 시·도 고교 체육특기생, 18.4%가 중도포기
기관명
김해영 국회의원
보도일
2018-10-28
첨부파일
pdf 파일
20181028-최근 3년간 17개 시·도 고교 체육특기생, 18.4%가 중도포기.pdf
- 1학년 포기자 비율 57.3%로 과반 넘어, 경남이 26.4%로 가장 높아
- 김해영“체육특기생 포기 이후에도 원하는 진로변경을 위한 학교의 세심한 배려 필요해”
❍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의원(부산 연제·교육위)은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2016~2018년 17개 시도 고교 체육특기생 중도포기자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18.4%가 체육특기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남. 1학년 포기 비율이 57.3%로 과반을 넘었고, 2학년 32.2%, 3학년 10.6%로 집계됨
❍ 지역별로는 경남이 26.4%로 가장 많은 학생들이 체육특기생을 포기했으며, 인천(21.8%), 충남(21.8%), 전북(20.7%), 경북(20.5%), 부산(20.3%)로 그 뒤를 이음.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시도는 최근 3년 동안 10%가 넘는 학생들이 체육특기생을 포기한 것으로 드러남
❍ 체육특기생 포기 후, 전학을 가는 비율이 54.2%로 가장 높았으며 기존 학교에서 공부로 진로를 변경한 학생은 31.%로 그 뒤를 이음. 자퇴한 학생도 11%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부상 등으로 휴학한 학생은 3.2%로 나타남
❍ 체육특기생 포기 사유는 단순‘운동포기’가 51.6%로 가장 많았고, 부상(16.3%), 거주지 이전(13.2%), 가정환경변화(10.6%)가 뒤를 이음. 부적응 학생은 3.4%, 유학을 떠난 학생은 1.4%, 다른 학교 팀으로 이적한 학생은 2.5%로 집계됨
❍ 이에 김해영 의원은 “상당수 고교 체육특기생들이 중간에 운동을 포기하고 있으며 그중 과반이 전학을 가고 있으며 자퇴를 하는 학생들도 11%에 달한다”며 “운동 중단 시 학교 내에서 학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진로변경에 어려움이 없도록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밝힘. 끝
※ 표 : 첨부파일 참조
목록
이전글
삼다수 공장 기계안전, 총체적 부실
다음글
최근 5년간 전국 학교안전사고 연 평균 114,900건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