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 이미지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국회도서관 홈으로 입법지원서비스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상세화면으로 제목, 기관명, 보도일, 첨부파일로 구성
제목 최근 3년간 17개 시·도 고교 체육특기생, 18.4%가 중도포기
기관명 김해영 국회의원 보도일 2018-10-28
첨부파일

pdf 파일 20181028-최근 3년간 17개 시·도 고교 체육특기생, 18.4%가 중도포기.pdf

- 1학년 포기자 비율 57.3%로 과반 넘어, 경남이 26.4%로 가장 높아
- 김해영“체육특기생 포기 이후에도 원하는 진로변경을 위한 학교의 세심한 배려 필요해”

❍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의원(부산 연제·교육위)은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2016~2018년 17개 시도 고교 체육특기생 중도포기자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18.4%가 체육특기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남. 1학년 포기 비율이 57.3%로 과반을 넘었고, 2학년 32.2%, 3학년 10.6%로 집계됨

❍ 지역별로는 경남이 26.4%로 가장 많은 학생들이 체육특기생을 포기했으며, 인천(21.8%), 충남(21.8%), 전북(20.7%), 경북(20.5%), 부산(20.3%)로 그 뒤를 이음.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시도는 최근 3년 동안 10%가 넘는 학생들이 체육특기생을 포기한 것으로 드러남

❍ 체육특기생 포기 후, 전학을 가는 비율이 54.2%로 가장 높았으며 기존 학교에서 공부로 진로를 변경한 학생은 31.%로 그 뒤를 이음. 자퇴한 학생도 11%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부상 등으로 휴학한 학생은 3.2%로 나타남

❍ 체육특기생 포기 사유는 단순‘운동포기’가 51.6%로 가장 많았고, 부상(16.3%), 거주지 이전(13.2%), 가정환경변화(10.6%)가 뒤를 이음. 부적응 학생은 3.4%, 유학을 떠난 학생은 1.4%, 다른 학교 팀으로 이적한 학생은 2.5%로 집계됨

❍ 이에 김해영 의원은 “상당수 고교 체육특기생들이 중간에 운동을 포기하고 있으며 그중 과반이 전학을 가고 있으며 자퇴를 하는 학생들도 11%에 달한다”며 “운동 중단 시 학교 내에서 학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진로변경에 어려움이 없도록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밝힘. 끝

※ 표 :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