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책이야기
신간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지금 한국의 인터넷 이용자들은 네이버가 구성한 서비스 환경 안에서 다양한 인터넷 활동을 영위하고 있다. 네이버 안으로 들어가면 정보, 오락, 상거래, 금융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공간을 만나게 된다. 그 안에서 부족함을 못 느끼며 인터넷 이용을 지속할 수 있다. 국내 최대 규모의 인터넷 기업인 네이버는 인터넷 이용자들의 검색 창구였다가 이제는 인터넷 생활의 환경이 된 것이다. 네이버는 한국인의 일상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인터넷 생활 기반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네이버가 우리 일상 안으로 성큼 들어와 권력을 행사하는 이러한 변화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우리는 이 변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평가해야 할까?
1장 포털 서비스 네이버의 변신1. 왜 네이버인가2. 네이버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2장 포털 서비스에 던지는 질문3장 네이버의 시작1. 초국가 정보자본주의론2. 정보화 정책과 네이버3. 포털 기업의 인터넷 공간 선점4. 포털이 취한 폐쇄성과 캐치올 전략4장 포털 시장 독과점: 종합 포털이 되다(2000~2005) 1. IT 버블 붕괴와 인터넷 산업의 물적 기반 확대2. 네이버의 놀라운 약진3. 네이버, 종합 포털이 되다5장 웹2.0 시대의 개막과 플랫폼형 포털로의 변화(2006~2010) 1. 웹2.0 기술과 담론의 활용2. 유연성의 발휘3. 플랫폼형 포털: 폐쇄적 개방성6장 모바일 시대와 메가플랫폼 형성(2011~ ) 1. 모바일 경제 시대, 플랫폼 자본주의로의 진입2. 메가플랫폼의 형성3. 메가플랫폼의 사회적 효과7장 플랫폼의 사회화 부록 한국 인터넷 산업과 네이버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