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책이야기
신간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능력주의와 생존주의, 우월함의 수직 구조가 지배하는 한국 사회에서, 복잡한 삶의 맥락을 지워버리는 ‘납작한 언어’들이 어떻게 차별과 혐오를 공고히 하는지를 날카롭게 비판한다. ‘팩트 폭격’과 ‘혐오할 자유’ 같은 왜곡된 언어를 통해 무너진 공론장의 현실을 드러내고, 민주주의와 평등, 공정의 본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게 한다.
프롤로그: 살아남기 위해 잃어버리는 것들 1부 성차별을 이야기할 때 쏟아지는 말들왜 Mother가 가장 사랑스러운 단어가 되었을까?고통의 평준화에 반대한다가사 노동의 평등을 위해 여자도 군대 가라?기본 값을 수정하라맘충이 만들어지는 한 조각들섬세함이라는 투박함고정 관념을 깼다는 고정 관념멋진 신세계는, 없다2부 살아갈 권리를 조롱하는 말들그 장애인은 왜 그리 친절했나자유는, ‘없는 자’만이 느낀다인권 교육은 ‘착하게 살자’가 아니다“아프간 난민, 한국 오지 마라”, 이 칼럼을 기억하시나요?우리에게 우리는 누구인가?차별금지법은 헌법 정신을 보완한다빈약한 사고의 시대, 납작한 논쟁의 나라제도적 차별 너머의 차별이 보이지 않는가3부 나의 기분만 생각하는 말들그런 말 듣고자 한 말이 아니다나는 너보다 더 힘들어야 한다들뜨면, 실수한다끈끈한 우리 편다정함의 민낯사회 문제를 따지면 사회성 없는 사람인가요?구수한 경상도 사투리는 존재하지 않는다저는 제 MBTI를 모릅니다, 앞으로도요너도 당해봐라? 참교육이라는 폭력4부 성공 아니면 실패라는 말들운도 실력이라고?사교육의 신께서 말씀하시니우물만 파다 보면누가 평범하고, 누가 비범한가독서의 효과는, 독서입니다친구도 없고 연애도 못하니, 그럼 죽을까?그 사람이 하버드대를 졸업하지 않았다면5부 사회를 뒤로 돌리는 말들더 힘들게 일할 자유를 주겠다?더 차별하겠다는 게 정책인가?히틀러도 말했다, 국민저항권을그들은 ‘MZ세대’라는 덫을 놓고 있다시험 공화국사교육은 망국의 원인이 아니라 결과다자살률 그래프를 어떻게 읽어야 할까?우리는 공화국의 조각이다에필로그: 그러지 않았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