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책이야기
신간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초저출산과 초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한국 사회는 인구 절벽과 축소경제라는 새로운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출산율 저하를 초래한 경제, 사회적 제도 시스템의 실패를 진단하고, 삶의 질 중심 정책, 여성·고령층 경제활동 확대, 유연근무·평생학습·디지털 전환 등을 통한 생산성 재설계로 인구감소 속 기회를 찾는 해법을 제시한다.
추천사 프롤로그 “지금이 축소경제를 대비할 수 있는 골든타임!” 1장 저출산·고령화가 우리 삶을 바꾸고 있다 사라지는 아이들, 늙어가는 대한민국 전 세계 저출산 열차, 한국은 어디쯤? 2060년, 우리나라의 경제시계는 거꾸로 간다 인구가 줄어도 성장을 멈추지 않는 방법은? 인구위기가 가져올 청구서에 대비하라 2장 축소경제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갈까? 전통 가족의 붕괴, 새로운 가족의 출현 고비용이라서 결혼은 사양합니다 육아도 커리어다. 여성이 일할 수 있는 사회 고령화의 그늘, 고령 근로로 더 길어질 일자리 평생 직장에서 평생 직업으로, 이제는 유연직장 사람이 줄면, 집도 달라진다. 인구충격과 주거 변화 국민연금만 믿을 수는 없다. 미리 대비하는 7가지 자산관리법3장 경제적 기회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고성장이 외면했던 실속 있는 틈새시장을 찾아라 실버가 파워다. 고령층의 소비를 겨냥하라 아이 수가 줄어도 교육시장은 팽창한다 소수의 고객을 영원한 고객으로 만들어라 저출산·고령화 시대, 기업들은 가족친화경영 삼매경 인구감소, 해외 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4장 정부와 기업이 함께 설계하는 미래 인구비상사태, 저출산·고령화의 파고를 넘어 수축사회일수록 도시로 몰려든다 인구위기 극복, 기업의 역할과 정부의 지원이 중요하다 다양성의 사회는 이제 대세다! ‘누구도 낙오되지 않는(NOW)’ 사회를 향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