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책이야기
신간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주거·의료·돌봄·교육 등 9개 기본서비스를 모두가 누리는 사회를 ‘기본사회’로 정의하며, 이는 복지정책을 넘어 인간 존엄과 사회계약을 재정립하는 비전이라고 주장한다. AI와 재생에너지를 ‘성장의 다리’로 삼아 불평등을 완화하고 지속 가능한 공동체를 만드는 구조적 전환을 강조하며, 국내외 실험과 구체적 실현 방안을 통해 함께 살아갈 미래의 설계도를 제시한다.
추천사-강남훈 사단법인 기본사회 이사장추천사-용혜인 국회의원 · 기본소득당 대표시작하며프롤로그 1부 기본의 문을 열다 1장 30만 원으로 무엇이 바뀔까 한 줌의 돈이 나를 붙들다 존엄의 씨앗, 30만 원 서로를 다시 보게 되는 순간작은 돈이 열어준 공동체의 문 2장 돈이 삶을 흔들 때 게으름이라는 낙인 다시 살아볼 수 있겠다는 마음낙인 없는 복지 노동을 선택할 수 있다는 자유 3장 기본소득의 재원, 어떻게 가능할까 왜 재원이 문제인가 기본소득,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할까 세금만으로 가능할까공유부 배당이라는 또 하나의 길성장의 다리를 건너서 2부 삶을 지탱하는 기본들 4장 돈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것들 숨을 쉬어도, 기대어 쉴 곳이 없다면 관계가 사라진 자리에 남겨진 사람들 돌봄의 경계에서 멈춰 선 사람들 기본소득만으로 채울 수 없는 빈자리 5장 기본이 지켜주는 사회 ‘같이’가 사라진 사회에서 삶을 이어주는 보이지 않는 손 보이지 않지만 꼭 있어야 할 것들 기회의 문을 여는 열쇠 공공의 이름으로, 곁에 머무는 것 기본서비스와 기본소득의 만남 6장 기본서비스를 구성하는 아홉 개의 중추기본주거-몸을 눕힐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기본의료-아플 수 있는 권리기본돌봄-혼자서는 살아낼 수 없는 시간들기본교육-출발선의 차이를 좁히는 힘기본교통-이동의 자유, 연결의 권리기본에너지-전기와 난방, 삶을 켜는 힘기본통신-디지털 시대의 생존 인프라기본금융-금융의 문을 다시 열다기본문화-문화는 기본이다기본서비스 9대 영역 요약 도표3부 기본사회를 향한 첫걸음 7장 복지국가를 넘어서 기본사회로 기본사회를 여는 길 복지국가의 피로, 더는 지탱되지 않는 틀 기본사회가 새롭게 설계하는 것 성장의 다리, AI와 에너지의 전환점 누가 이 다리를 놓을 것인가 기본사회는 이미 시작되었다 8장 기본사회의 주체들 - 시민, 마을, 지방정부 위가 아니라, 곁에서 시작되는 사회 시민, 정책의 수혜자에서 설계자로 마을, 가장 작은 기본사회 마을기업, 기본사회를 실현하는 작은 엔진지방정부, 실천하는 행정기관 기술과 공동체를 잇는 실천가들 기본사회 주체와 주체의 연대 4부 기본사회를 움직이는 힘 9장 기본사회를 디자인하다 기본사회, 설계에서 시작된다 행정은 플랫폼이 되어야 한다 기술이 사람의 마음을 읽을 때 함께 받되 다르게 누리는 권리 틀이 아니라, 길을 만들어가는 일 10장 공유부와 기본사회 자원을 바꾸면, 사회가 바뀐다 공유부란 무엇인가 햇빛의 몫, 바람의 몫햇빛과 바람, 새로운 시대를 열다 주민이 주도하는 에너지 전환데이터는 누구의 것인가 토지와 공간, 공기와 시간 쌓는 사회에서 나누는 사회로 11장 기술이 사람을 만날 때 시스템이 아니라 사람을 위한 기술 기술은 누구의 편인가 AI의 손길, 삶에 닿다 데이터의 주인은 누구인가 플랫폼 너머의 민주주의 5부 기본사회의 정치 선언 12장 기본사회를 향한 새로운 계약복지국가의 계약은 충분한가 기본사회는 어떤 계약을 요구하는가정책에서 제도로정치 없이는 기본사회도 없다13장 기본사회 선언-함께 쓰는 미래의 이름 선언은 작은 다짐으로 시작된다삶으로 증명되는 기본사회 지금, 여기서 시작한다 함께 만드는 기본사회에필로그 도움받은 자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