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책이야기
신간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분쟁의 패러다임이 ‘세계대전’에서 ‘세계내전’으로 변화했음을 진단하고, 그 원인을 ‘단일민족, 단일국가’라는 동질화를 강요하는 내셔널리즘, 가치 대립 등에서 찾는다. 지도와 지리적 근원을 활용해 분쟁의 원인과 양상을 설명하며, 분쟁의 세계사를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를 이해하고 자신만의 관점을 갖추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서문 ‘분쟁’이란 무엇인가제1장 세계대전에서 세계내전으로주권국가 체제의 성립대서양 혁명과 내셔널리즘의 등장이중혁명과 국민국가의 확산1848년 이후와 민주정치의 진전제국주의와 세계 분할총력전으로서의 제1차 세계대전복합전쟁으로서의 제2차 세계대전식민지주의 해체변화하는 전쟁의 모습가치의 분배를 둘러싼 정치제2장 식민지 독립의 빛과 그림자아프리카의 분쟁콩고동란 | 비아프라 전쟁 | 서사하라 문제 | 앙골라 내전 | 오가덴 전쟁 | 소말리아 내전 | 라이베리아 내전 | 우간다 분쟁 | 르완다 분쟁 | 부룬디 내전 | 제1차, 제2차 콩고 전쟁 | 다르푸르 분쟁 | 남수단을 둘러싼 분쟁 | 중앙아프리카의 내전 | 아프리카식 민주화와 평화구축동남아시아의 분쟁태국이 직면한 두 가지 분쟁 | 라오스의 국어 정책 | 필리핀의 민다나오 분쟁 | 미얀마의 민주화 투쟁과 난민 문제 | 인도네시아의 분리독립 운동남아시아의 분쟁인도와 파키스탄의 분리독립 | 카슈미르를 둘러싼 분쟁 |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 핵무기 개발 경쟁 | 힌두 내셔널리즘 등장 | 중국-인도 국경 분쟁 | 스리랑카 내전제3장 제국 해체의 여파오스트리아 - 헝가리 이중제국의 붕괴마자르인 문제 | 유고슬라비아의 성립 |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 보스니아 내전 | 코소보 분쟁 | 체코슬로바키아의 연방 해체소비에트 제국의 붕괴소비에트 연방의 결성 |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 | 코카서스 분쟁 |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 | 친러시아 성향의 아르메니아 | 조지아-러시아 간의 군사 충돌 |체첸 분쟁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오스만 제국의 붕괴오스만 제국과 아르메니아인 | 쿠르드인 문제 | 분단된 아랍 세계 | 팔레스타인 문제해체되지 않는 중화제국내몽골의 인권 탄압 | 티베트인에 대한 인권 침해 |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인권 문제 | 대만 문제제4장 유럽의 역사인식 분쟁발트 3국의 역사인식을 둘러싼 문제‘점령’인가 ‘해방’인가 | 기념비를 둘러싼 대립오스트리아의 역사인식을 둘러싼 문제불완전한 비나치화 | 희생자 내셔널리즘 | ‘극우’ 정당의 부상이탈리아의 역사인식을 둘러싼 문제역사의 ‘일탈’프랑스의 역사인식을 둘러싼 문제왜 승전국 자리에 있는가 | 레지스탕스 신화와 비시 정부의 정통성독일의 역사인식을 둘러싼 문제과거를 반성했는가 | 역사가 논쟁 | 골드하겐 논쟁제5장 ‘민주주의’ VS ‘권위주의’민주화의 세 가지 물결색깔 혁명기로에 선 민주주의확산하는 권위주의포퓰리스트·모멘트무엇이 배외주의를 낳는가의도적으로 역사를 다시 쓰는 역사수정주의역사수정주의와 연결되는 음모론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