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 이미지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국회도서관 홈으로 책이야기 신간 금주의 신간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해방의 기억 : 한반도·중국·일본에서 8.15를 맞이한 코리언들의 삶 표지

  • 해방의 기억
  • - 저자 :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지음
  • - 발행사항 : 지식의날개(2025)
  • - 청구기호 : 951.7 -25-20

도서요약정보

한중일 각지에서 해방을 맞이한 코리언들의 삶을 통해 8.15의 의미를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재조명한다. 소설과 문학, 지역사와 대담을 통해 환희와 공포가 교차한 그날의 경험을 되살리고, 남북·재중·재일 청년들의 대화를 통해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며 새로운 연결과 연대를 모색한다.

목차

들어가며: 국경일 ‘8.15’와 8.15 기억하기_ 박영균 5

1부 동아시아의 탈식민과 냉전, 공식 기억의 교차
1. 1945년, 중국의 기념일과 배제된 재만조선인의 기억_ 박솔지 36
2. 해방과 패전의 카오스, 재일조선인과 일본인의 서로 다른 기억_ 정진아 62
3. 한·중·일의 공동 역사 기억과 8.15_ 박민철 85

2부 문학을 통해 본 8.15의 풍경과 기억들
4. 8.15 전후 새로운 빛과 남겨진 그림자 - 이태준의 단편소설_ 박재인 108
5. 해방의 두 얼굴, 환희와 공포 - 중국 동북 지역 조선인 문학_ 전은주 132
6. 적지에서 부르는 해방 찬가 - 재일조선인 문학_ 전영선 153

3부 해방과 함께 온 냉전, 살풍경의 현장들
7. 새로운 세상을 설계하다, 보성 회천면의 8.15_ 김종군 174
8. 해방 후 북한 사회의 불안과 공포, 그리고 희망_ 김종곤 195
9. 누가 반역자인가? 해방 직후 재일조선인의 좌우 대립_ 도지인 213

4부 2025년에 바라본 1945년 코리언의 해방과 분단
10. 레드 콤플렉스 때문에 막혀 있는 상상력이 넓어진다면 - 남과 북 청년의 대담
_ 조경일·김연우·강태성 234
11. 냉전적 인식과 혐오를 넘어서 서로를 만나는 것 - 재중조선족과 한국인의 대담
_박솔지·최연·안걸 268
12. 코리언의 미래를 위한 약속, 반차별주의와 페미니즘 - 재일조선인과 한국인의 대담
_이태준·김리화·김리이슬 306

나가며: 2025년 코리언‘들’에게 1945년 8월이란? 342
참고문헌 361
이 책의 집필진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