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한 정보가 있으신가요? 국회도서관 소장정보부터 전자자료까지 다양한 지식정보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의정활동에 필요한 자료를 어디서 찾을지 고민되셨다면, 입법 지원서비스 메뉴를 확인해보세요. 국회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의회·법률정보부터 AI 분석까지, 국회의 입법 활동을 뒷받침하는 전문정보를 모았습니다.
어떤 책을 읽을지 고민되시나요? 국회의원 추천도서부터 전문가 서평, 북 큐레이션과 전자책·오디오북까지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책과 함께하는 지식문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국회도서관을 처음 이용하신다면 이용자마당을 확인해보세요. 이용 시간과 자료실 안내 등 도서관 이용에 필요한 정보와 각종 신청·참여 서비스를 확인하고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국회도서관은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요? 국회도서관의 역사와 역할, 조직 및 주요 업무부터 대외활동까지 국회도서관의 모든 것을 한눈에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전체메뉴
책이야기
새로 들어온 책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미국의 ‘정의로운 나라’ 신화를 비판적으로 해부하며, 보호무역·반이민 정책 등 자국 중심주의의 역사적 뿌리를 짚는다. 트럼프의 등장은 돌발적 사건이 아니라 미국사의 연속선상에 있음을 밝히며, 정치·경제·외교의 이면을 통해 혼란한 세계 질서의 본질을 통찰한다.
프롤로그_트럼프 현상은 250년 전 미국 건국 시기부터 싹터왔다1장. 트럼프 2기의 탄생 배경과 역사1. 미국 정치계의 이단아가 일으킨 기적- 트럼프는 어떻게 다시 승리했는가- 승리 배경에 깊게 새겨진 양극화2. 누가, 왜 트럼프를 지지했을까?- 단단히 결집한 백인 보수주의자들의 역사- 대통령 당선을 좌우하는 스윙 스테이트- 새로운 소셜 미디어와 정보 생태계의 변화3. 미국의 현재를 들여다보다: 경제와 사회-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라는 공포- 고관세로 치솟는 인플레이션을 잡는다?- 부정적 결과를 초래했던 미국 역사 속 고관세 정책- 불법 이민을 막으면 거의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4. 미국의 현재를 들여다보다: 민주주의- 때아닌 좌파 마르크스 이념 논쟁- 건국 때부터 시작된 풀리지 않는 갈등, 지역주의5. 트럼프 1기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부익부 빈익빈의 가속화, 무역 적자를 부른 경제 정책- 분열과 갈등을 심화시킨 국내 정책- 미국의 리더십에 의문을 품게 만든 외교 정책2장. 민주주의의 위기인가, 새로운 전환점인가1. 건국 이래 엄격히 작동해온 ‘견제와 균형’ 원칙- 피할 수 없는 싸움, 연방 정부 v. 주 정부- 미국 정치계의 견고한 두 첨탑, 양당 제도2. ‘트럼프의 공화당’으로 추락한 링컨의 공화당- 공화당 창당의 역사와 링컨의 당선- 변화의 갈림길에 놓인 공화당- 경제 대공황을 맞이한 공화당의 변화3. 뉴딜 정책과 새로운 민주주의- 건국과 함께 시작된 자유방임주의 전통- 미국 진보-민주주의의 대들보, 뉴딜 정책- 보수의 역공과 트럼프의 대반격4. 민주당의 진화와 오바마의 미국- 프랭클린 루스벨트부터 빌 클린턴까지의 민주당- 차이의 수용, 다름의 포용을 추구한 오바마- 오바마 행정부가 남긴 유산5. 트럼프, 미국 민주주의의 이단아인가?- 정치계에 돌풍처럼 등장한 도널드 트럼프- 자본주의와 소셜 미디어가 낳은 이단아3장. 미국 외교 전통을 파괴한 트럼프1. 미국의 전통 외교 방침, 고립주의- 최초의 외교 정책이자 본보기가 된 모델 조약- 먼로 독트린, 구세계로부터의 독립을 천명하다- 서쪽으로 가라, 젊은 그대여!2. 세계 전쟁, ‘미국의 세기’를 열다- 저무는 고립주의, 드리우는 제국주의- 세계 무대에 미국을 드러낸 계기, 1차 세계 대전- 미국의 세기를 연 신호탄, 2차 세계 대전3. 냉전과 탈냉전, 이념 대립으로 세게 질서를 이끌다- 냉전, 미국의 새로운 외교 원칙을 탄생시키다- 베트남 전쟁에서 레이건 시대까지- 탈냉전이 뒤바꾼 미국의 역할4. 9·11 테러가 촉발한 새로운 질서- 명분만 내세운 전쟁, 실패로 기록된 전쟁- 오바마, 미국이 맡은 역할을 재정의하다- 트럼프 1기와 바이든의 외교5. 냉전으로의 회귀: 미-중 ‘신냉전’의 태동- 탈냉전 이후 급부상한 신흥 강국 중국- 중국의 세계무역기구 가입이 불러온 관계의 변화- 트럼프는 미국 외교 전통을 깨뜨린 파괴자인가?4장. 제2의 남북 전쟁은 불가피할까?1. 미국 다문화주의의 전통과 특징- 멜팅 팟과 샐러드 볼 중 미국이 선택해야 할 길은?- 누가 먼저 미국 땅을 밟았나?- 무엇이 진정한 미국 다문화주의인가?2. 다문화주의 v. 지역주의- 골드 러시가 불러온 서부 해안의 다문화 물결- 산악 서부 지역의 보수화, 도시와 농촌의 정치적 격차- 뿌리 깊은 지역주의의 본질, 남과 북의 분열3. 평등의 시작과 보수의 반격- 분노한 보수주의자들, 공화당으로 향하다- 레이건에서 깅리치, 보수 반동의 시대- 공화당의 영웅, 조지 W. 부시의 딜레마4. 인권 보호와 차별할 권리를 둘러싼 문화 전쟁- 여성과 남성의 결합만 인정하는 결혼 방어법- 총기 규제는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일까?- 더 이상의 ‘아메리칸 드림’은 없다, 불법 이민 문제5. 극단으로 치닫는 양극화 현상- 점점 격화되는 ‘우리’와 ‘그들’이라는 이분법- 불안과 분노의 무대가 된 2016년 선거- 미국 민주주의 위기의 날, 1·6 의사당 사태5장. 트럼프의 미국은 과연 어디로 갈 것인가?1. 트럼프를 둘러싼 환상과 허상- 미국 외교 전통을 파기한 이단아- 자유무역 전통을 파기한 이단아2. 꺼지지 않는 불씨, 진영 갈등은 어떻게 전개될까?- 위기와 영웅, 반복되는 진영 갈등의 역사- 진영 간 감정 싸움의 중심에 선 트럼프3. 트럼프는 미국의 히틀러가 될까?- 수정 헌법 제1조, ‘표현의 자유’라는 장벽- ‘견제와 균형’이라는 굳건한 기둥- 불의에 저항하는 ‘내부 고발자’라는 전통- 트럼프 시대, 민주주의의 마지막 보루는 무엇일까?4. 3차 세계 대전은 일어날까?- 미-중 신냉전은 어디로 치달을 것인가?- 만약 신냉전이 무력 충돌로 이어진다면?5. 트럼프 시대의 미래와 우리의 자세- 분열과 갈등으로 얼룩진 극단의 시대- 대한민국은 이 위기를 어떻게 넘겨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