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한 정보가 있으신가요? 국회도서관 소장정보부터 전자자료까지 다양한 지식정보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의정활동에 필요한 자료를 어디서 찾을지 고민되셨다면, 입법 지원서비스 메뉴를 확인해보세요. 국회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의회·법률정보부터 AI 분석까지, 국회의 입법 활동을 뒷받침하는 전문정보를 모았습니다.
어떤 책을 읽을지 고민되시나요? 국회의원 추천도서부터 전문가 서평, 북 큐레이션과 전자책·오디오북까지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책과 함께하는 지식문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국회도서관을 처음 이용하신다면 이용자마당을 확인해보세요. 이용 시간과 자료실 안내 등 도서관 이용에 필요한 정보와 각종 신청·참여 서비스를 확인하고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국회도서관은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요? 국회도서관의 역사와 역할, 조직 및 주요 업무부터 대외활동까지 국회도서관의 모든 것을 한눈에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전체메뉴
책이야기
새로 들어온 책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한반도 정세 변화와 북미 대화 가능성이 열리는 상황을 한국 경제의 새로운 돌파구로 해석한다. 지정학 리스크 완화, 대북 인프라·자원·산업 협력의 확장성,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등 잠재적 효과를 짚으며, 변화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기업과 투자자가 어떤 전략을 준비해야 하는지 제시한다.
ㆍ책을 시작하며1장 북한 경제 개발, 한국 주식 시장의 마지막 블루오션01. 세계 최저 출산율로 2040년 한국 잠재 성장률이 멈춘다02. 흔들리는 한국 반도체 산업03. ‘중국 제조 2025’의 대공세와 한국 기업의 경쟁력 하락04. 성장 동력을 상실한 한국, 북한 경제 개발이 새로운 기회05. ‘북한 경제 개발’ 프로젝트의 엄청난 잠재력06.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미국 주식에 열광하는 한국 투자자07. 북한 경제 개발, ‘컴백 코리아’와 ‘코스피 5,000시대’를 견인ㆍ‘월가 거장’ 짐 로저스, 전 재산을 북한에 투자하고 싶다ㆍ통일의 효과로 독일 GDP가 일본을 추월했다2장 피스메이커 트럼프 대통령, 북미 관계 정상화를 원한다01. 미중 패권 경쟁, 북한의 지정학적 가치가 중요해졌다02. 주한미군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김정은 위원장03. 제1차 북미 정상회담과 북미 관계 정상화 의지04. 제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과 북한 핵 미사일 고도화05. 북러 군사 동맹으로 북한의 전략적 입지가 강화됐다06.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관계 정상화를 원한다07. 북미 관계에 따라 북일 관계도 정상화된다ㆍ트럼프의 대외 행동 방식은 닉슨과 비슷하다3장 흔들리는 북한 경제, 돌파구가 필요하다01. 유엔 제재의 영향으로 환율이 4.9배 급등02. 환율 급등으로 인한 쌀값, 부동산 가격 폭등03. 러시아 파병과 전쟁 특수의 한계04. 김정은 위원장에게는 획기적인 경제 돌파구가 필요하다05. 대북 제재 해제만으로도 북한 경제는 회복한다06. 한반도 경제공동체로 발전해야 한다ㆍ유럽공동체는 300년간 숙적 서독과 프랑스 경제를 부흥시켰다4장 북한 잠재력에 주목하면 투자의 길이 열린다01. 젊고 역동적인 인구구조02. 탁월한 소프트웨어 인재가 넘친다03. 장마당과 돈주가 북한판 시장 경제를 주도한다04. 휴대폰 보급 확대로 시장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있다05. 희토류를 포함한 풍부한 지하자원에 주목하라06. 경제개발구를 통해 경제 발전에 나선다ㆍ남북한 보건 협력,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다ㆍ북한 해킹 기술에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실력이 있다5장 1단계 투자 ① 개성공단과 관광 사업 재개01. 개성공단은 한국의 미래 생산기지다02. 동북아 관광 허브를 꿈꾸는 북한의 관광 사업03. 개성공단과 관광으로 길이 열리는 한국 음식료ㆍ현대아산의 움직임에 주목하자6장 1단계 투자 ② 인프라 투자와 자원 개발로 경제 도약의 초석을 마련한다01. 북한 경제 개선의 전제조건은 인프라 투자다02. 자원 개발, 북한의 희토류와 마그네사이트를 선점하자03. 북한 철강 산업의 재건에 참여하라04. 시멘트 산업의 현대화에 투자한다ㆍ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 지도ㆍ북극 횡단 운송 회랑, 남북러의 자원과 물류의 혁신 프로젝트7장 2단계 투자 _ IT, 중화학 공업 투자를 통한 경제성장의 본격화01. 삼성전자, 베트남 고도성장의 주역02. 개성공단 확장, 스마트폰, 가전 사업이 이끈다03. 은정첨단기술개발구에 진출하면 소프트웨어와 게임 경쟁력이 강화된다04. 북한 유통업에 진출할 길은 이미 열려 있다05. 해운업체와 조선업체는 나선경제무역지대로 진출할 수 있다06. 현대화 작업만으로도 성과를 낼 수 있는 화학 산업07. 평양 인근 수출가공구에는 자동차 사업이 적합하다08. 한러 가스관 프로젝트, 이번에는 성사될 수 있다ㆍ베트남 경제성장의 신화8장 3단계 투자 _ 경제 고도화는 4차 산업혁명으로01. 6세대 이동통신으로 단번 도약02. 스마트 팩토리, 생산성을 높인다03. 동북아 슈퍼 그리드, 에너지 인프라의 혁신적 변화04. 스마트 시티, 경제개발구가 첨단 도시로 변모한다05. 고속철도 사업, 한반도와 중국의 교통 혁명이 시작된다ㆍ북한의 GDP가 20년 동안 5.2배 증가할 수 있다ㆍ한반도 경제공동체를 위한 정부의 역할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