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한 정보가 있으신가요? 국회도서관 소장정보부터 전자자료까지 다양한 지식정보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의정활동에 필요한 자료를 어디서 찾을지 고민되셨다면, 입법 지원서비스 메뉴를 확인해보세요. 국회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의회·법률정보부터 AI 분석까지, 국회의 입법 활동을 뒷받침하는 전문정보를 모았습니다.
어떤 책을 읽을지 고민되시나요? 국회의원 추천도서부터 전문가 서평, 북 큐레이션과 전자책·오디오북까지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책과 함께하는 지식문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국회도서관을 처음 이용하신다면 이용자마당을 확인해보세요. 이용 시간과 자료실 안내 등 도서관 이용에 필요한 정보와 각종 신청·참여 서비스를 확인하고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국회도서관은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요? 국회도서관의 역사와 역할, 조직 및 주요 업무부터 대외활동까지 국회도서관의 모든 것을 한눈에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전체메뉴
책이야기
새로 들어온 책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요즘 세대가 리더 되기를 두려워하는 현상을 단순한 개인 성향이 아니라 조직과 사회가 함께 만든 구조적 결과로 진단한다. 성과 중심 조직문화, 수평적 관계 선호, 번아웃을 낳는 조직 구조 등을 분석하며 새로운 리더십의 방향을 제시한다. 리더를 위계의 정점이 아닌 동반 성장을 이끄는 존재로 재정의하며,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리더십의 조건을 탐색한다.
Prologue1. 요즘 세대는 왜 리더가 두려운가?‘리더는 희생양’이라는 공식리더라는 책임감의 무게 | 리더 포비아의 태동 | 착한 리더는 더 위험하다? | ‘리더 = 희생양’에서 ‘리더 = 기피대상’으로 | 조직은 리더를 만들기도 하지만, 때로는 잡아먹는다!불안한 시대, 리더는 리스크다불안을 더욱 부추기는 엄혹한 현실들 | 준비 과잉으로 몸부림치는 Z세대 | 디지털 세대인 Z세대의 임포스터 신드롬 | 인생 고통 총량의 법칙 | 리더십의 핵심적인 기반, 자기효능감 | 나도 잘해보고 싶다고!리더 포비아와 경쟁의 덫능력주의의 순기능과 역기능 | 커리어에 대한 인식차가 리더 포비아를 만든다 | 꿈과 현실 사이의 균열 | 명화 속에 담긴 불평등의 은유 | 소속감이 실종된 조직 | 경쟁의 끝자락에서 | 능력주의에서 벗어나 연대로 인간다움을 지키자편집증적 양육의 시대사랑이라는 이름의 감금 | 자유를 빼앗긴 아이들 | 고통 없이 기를 수 없는 회복탄력성 | 재능계발중심 양육과 자연 성장형 VS 과잉보호와 정서적 방임요즘 세대는 왜 경쟁을 싫어할까?경쟁이 싫은 세대, 평등을 꿈꾼다? | 횡렬주의의 부상 | 성과에 대한 보상이 집단의 균형을 깨뜨린다?2. 리더를 두려워하는 시대, 리더가 될 수 없는 시대주목은 곧 표적이다협력보다 부담으로 각인된 팀 프로젝트 | 튀면 다친다 | 익명 보장이 참여를 유도한다 | 칭찬은 고래를 숨게 한다?‘좋아요’ 없인 리더도 설 수 없는 세상자기 이미지 관리에 질리다 | 소셜 미디어가 만든 거울의 감옥 | 업무와 행동을 넘어 이미지와 감정 리스크까지 감당하는 리더 | 진짜 나 VS 보정된 나나는 어디에도 속하지 않지만, 동시에 모든 곳에 속한다기성세대와 요즘 세대의 정체성 차이 | 방식과 기준이 달라졌을 뿐 | 느슨하지만 유의미한 연결의 시대 | 조직에 더 깊이 소속되고 싶어 리더를 거부한다 | 역동적인 연결이 가능한 조립식 소속감 | 소속의 방식을 스스로 정하고 싶은 요즘 세대수틀리면 냅다 빠꾸개인주의 시작이자 한계를 보여준 X세대 | 여전히 집단 속의 개인인 밀레니얼세대 | 개인 맞춤형 경험을 요구하는 Z세대 | 군중 속 개인에서, 개인 속 군중으로이건 나도 처음 해보는 일인데요리더십이 언제, 어떻게 작동하는가? | 시간 부족은 리더의 판단력을 약화시킨다 | 리더십의 실패는 시스템의 실패다 | 디지털 기술로 가속화된 시간 감각의 붕괴와 리더십의 위기 | 시간이 곧 리더십이다 | 성과가 낮은 구성원에 더 많은 시간을 쓰는 역설 |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한 시간관리 매트릭스다시 주목받는 Me세대더 정교하게 일상화된 형태로 재등장한 미세대 | 나를 중심으로 세상을 해석하는 미이즘 | 현실적인 과제가 된 ‘나는 누구인가’ | 실용세대와 리더 포비아 | 리더 포비아는 책임회피가 아니다3. 변화하는 리더십, 흔들리는 가치굳이 이기고 싶지 않아요다수의 인정보다는 마음 맞는 소수의 공감이 중요한 세대 | 워라벨이 중요한 Z세대 | 세계적인 물리학자의 요즘 세대 공략법 | 불확실성에 대한 학습된 무력감 | 불확실한 세상의 생존 방식, 잡 크래프팅좋은 사람 콤플렉스카리스마보다는 공감이 요구되는 리더 | 좋은 사람과 좋은 리더는 다르다 | 좋은 사람 콤플렉스를 극복하는 법, 자기 긍정감 | 자신의 부족함에 얽매이지 말자나는 내 운명의 지배자다!안정보다는 자유와 유연성을 우선시하는 젊은 세대 | 딜버트의 법칙 | 자기결정권의 확장으로 나타나는 현상들 | 조직문화에 리스크가 될 수 있는 라우드 퀴팅기성세대는 몰랐다, 요즘 세대의 번아웃성장에 대한 집착이 만든 번아웃 / 번아웃에 대한 기성세대와의 인식차 / 번아웃에 대한 잘못된 인식 / 일이 많다고 번아웃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 번아웃은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 번아웃, 해결 방법은? / 업무에 대한 통제감이 번아웃을 막는다 / 일에 대한 내적 확신이 필요하다우리가 남이다!공적 관계와 사적 영역 사이의 분명한 경계 / 잡담은 여전히 유효하다 / 말을 잘하는 것보다 배려가 중요하다 / 효과적인 소통을 위해서 라이프스타일을 관찰하자 / 심리적 안전지대에 대한 욕구가 만든 리더 포비아4. 리더 포비아를 극복하는 방법리더 없는 리더십권력의 분산이 만든 조직의 가치 | 당신이 알던 리더십은 끝났다 | 보스가 아닌 가이드가 요구되는 리더 | 권위가 아닌 협업과 네트워크에 기반한 리더십이 요구된다자리가 사람을 망친다자리가 사람을 망가뜨릴 때 | 후배 포비아 | 리더 포비아를 극복한 기업의 비밀세대 차이를 극복하는 피드백 방법갈등이 줄면 성장도 멈춘다 | 요즘 세대와 세대 차이를 극복하는 법 | 지시하지 않는다요즘 세대의 행동을 이끄는 방법요즘 세대는 왜 더 강한 ‘시점 할인’ 경향을 보일까? | 요즘 세대를 위한 보상법 | 손실회피 성향을 자극하라 | 완성된 성과보다 중요한 것은?리더 포비아 극복을 위한 새로운 리더십리더의 눈이 열리는 순간 | 새로운 리더십으로의 첫걸음 | 신뢰하는 동료를 영입하다 | 행동의 원칙을 세우다 | 처음부터 완벽한 리더는 없다 | 리더 포비아에 대한 해답, 동반 향상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