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만 기다려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22대 대한민국 국회
국회정보길라잡이
국회의원검색
키워드
검색
로그인
English
국회부산도서관
국회도서관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Web-DB
오픈액세스 저널
학술연구자정보
국가학술정보
지식공유
디지털콘텐츠식별체계
입법지원서비스
의회법률정보포털
국가전략정보포털
AI시사분석 아르고스
발언 빅데이터
국회의원 정책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기록정보
국회지방의회의정포털
독도홈페이지
책이야기
금주의 서평
새로 들어온 책
금주의 보고서
월간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 웹진
국회의원 추천도서
전자책·오디오북
북 큐레이션
영상 큐레이션
이용자마당
공지사항
이용안내
문화행사
신청 및 예약
납본·기증
Open API
게시판
도서관소개
국회도서관
개방·공유
자료실
오시는 길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Web-DB
오픈액세스 저널
학술연구자정보
국가학술정보
지식공유
디지털콘텐츠식별체계
입법지원서비스
의회법률정보포털
국가전략정보포털
AI시사분석 아르고스
발언 빅데이터
국회의원 정책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기록정보
국회지방의회의정포털
독도홈페이지
책이야기
금주의 서평
새로 들어온 책
금주의 신간
국내 주간지 기사
외국도서관 기증자료
금주의 보고서
월간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 웹진
국회의원 추천도서
전자책·오디오북
북 큐레이션
영상 큐레이션
이용자마당
공지사항
이용안내
이용대상 및 시간
이용 제한 자료
장애인 이용
출입절차 및 준수사항
모바일 서비스
이용안내 리플릿
문화행사
신청 및 예약
디지털정보센터 좌석예약
야간 자료이용
비치희망도서신청
자료복사
메일링 서비스
참관
납본·기증
납본
기증
자료수집정책
Open API
게시판
자주하는 질문
묻고답하기
자유게시판
납본·기증
납본
기증
자료수집정책
Open API
게시판
자주하는 질문
묻고답하기
자유게시판
도서관소개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장
역대 국회도서관장
조직 및 업무
개방·공유
발간자료
소장현황
사이버 홍보실
한국학술정보협의회
한국학술정보협의회
제23차 정기총회 및 콘퍼런스
협정체결절차
협의회 및 협정기관 소개
정보공개
업무추진비
관계법규
자료실
오시는 길
My Library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모바일 간편열람증
닫기
HOME
입법지원서비스
정보검색
입법지원서비스
책이야기
이용자마당
도서관소개
My Library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의회법률정보포털
국가전략정보포털
AI시사분석 아르고스
발언 빅데이터
국회의원 정책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기록정보
국회지방의회의정포털
독도홈페이지
프린트
공유하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입법지원서비스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상세화면으로 제목, 기관명, 보도일, 첨부파일로 구성
제목
일명 불효자 방지법 대표발의
기관명
이언주 국회의원
보도일
2018-07-16
첨부파일
pdf 파일
20180716-일명 불효자 방지법 대표발의.pdf
직계비속이 피상속인의 사망 전 10년 이상 연락을 단절할 경우 유언으로 유류분(遺留分) 상실 가능
이언주 의원(경기 광명시 을)은 16일 피상속인의 재산상의 형성 또는 유지에 기여가 없는 직계비속이 피상속인의 사망 전 10년 이상 피상속인과 연락을 단절하여 피상속인이 그 주소, 거소, 연락처를 알 수 없는 경우 피 상속인은 유언으로 유류분(遺留分)을 상실시킬 수 있는 일명 “불효자 방지법” 인「민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의원은 증여는 증여자가 수증자에게 무상으로 재산을 이전하는 행위로 통상적으로 증여에는 증여자와 수증자 간의 특별한 인적관계 내지 신뢰관계를 전제한다. 그런데 수증자가 그러한 관계에 기초하여 증여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증여자에 대해 배신행위 내지 망은행위를 하는 경우 증여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은 부당하다. 이에 따라 현행법 제556조는 배신행위의 유형을 정하여 그 유형에 해당하는 사유가 있으면 증여자가 증여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법은 독일민법, 프랑스 민법 등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서도 배신행위의 유형이 너무 좁게 열거되어 있고 해제권 행사의 제척기간이 짧은데다가 이미 이행한 부분에 대한 반환을 청구할 수도 없다고 지적하고 재산에 대한 기여, 부양뿐만이 아니라 최소한의 정서적 교류조차 없는 사람에게 피상속인의 의사에 반하여 유류분을 인정하는 것은 사유재산 원칙에도 반하고 국가적, 사회적으로도 보호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최근 부양의무를 약속하고 증여받은 자녀 또는 친족이 증여자에 대해 학대, 폭행 등 범죄행위를 하거나 부양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는 배은(背恩)행위가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목록
이전글
김성태 당대표권한대행, 현안관련 기자회견 주요내용
다음글
[논평] 전북 국제금융센터 국비지원, 금융타운 성패 가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