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만 기다려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22대 대한민국 국회
국회정보길라잡이
국회의원검색
키워드
검색
로그인
English
국회도서관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Web-DB
오픈액세스 저널
학술연구자정보
국가학술정보
지식공유
디지털콘텐츠식별체계
입법지원서비스
의회법률정보포털
국가전략정보포털
국회의원 정책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AI시사분석 아르고스
국회지방의회의정포털
국회기록정보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독도홈페이지
책이야기
금주의 서평
신간
월간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 웹진
국회의원 추천도서
전자책·오디오북
북 큐레이션
영상 큐레이션
이용자마당
공지사항
이용안내
문화행사
신청 및 예약
납본·기증
Open API
게시판
도서관소개
국회도서관
개방·공유
자료실
오시는 길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Web-DB
오픈액세스 저널
학술연구자정보
국가학술정보
지식공유
디지털콘텐츠식별체계
입법지원서비스
의회법률정보포털
국가전략정보포털
국회의원 정책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AI시사분석 아르고스
국회지방의회의정포털
국회기록정보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독도홈페이지
책이야기
금주의 서평
신간
금주의 신간
국내 주간지 기사
외국도서관 기증자료
월간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 웹진
국회의원 추천도서
전자책·오디오북
북 큐레이션
영상 큐레이션
이용자마당
공지사항
이용안내
이용대상 및 시간
이용 제한 자료
장애인 이용
출입절차 및 준수사항
모바일 서비스
이용안내 리플릿
문화행사
신청 및 예약
디지털정보센터 좌석예약
야간 자료이용
비치희망도서신청
자료복사
메일링 서비스
참관
납본·기증
납본
기증
자료수집정책
Open API
게시판
자주하는 질문
묻고답하기
자유게시판
납본·기증
납본
기증
자료수집정책
Open API
게시판
자주하는 질문
묻고답하기
자유게시판
도서관소개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장
조직 및 업무
개방·공유
발간자료
소장현황
사이버 홍보실
한국학술정보협의회
한국학술정보협의회
제23차 정기총회 및 콘퍼런스
협정체결절차
협의회 및 협정기관 소개
정보공개
업무추진비
관계법규
자료실
오시는 길
My Library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모바일 간편열람증
닫기
HOME
입법지원서비스
정보검색
입법지원서비스
책이야기
이용자마당
도서관소개
My Library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의회법률정보포털
국가전략정보포털
국회의원 정책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AI시사분석 아르고스
국회지방의회의정포털
국회기록정보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독도홈페이지
프린트
공유하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입법지원서비스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상세화면으로 제목, 기관명, 보도일, 첨부파일로 구성
제목
포장이사 피해구제 신청 지난 5년간 2,128건… 영구크린 최다
기관명
이태규 국회의원
보도일
2019-04-21
첨부파일
pdf 파일
20190421-포장이사 피해구제 신청 지난 5년간 2,128건… 영구크린 최다.pdf
포장이사 피해구제 신청 지난 5년간 2,128건… 영구크린 최다
- 소비자원 접수, 2014년~2018년 포장이사운송서비스 피해구제 신청 2,128건
- 영구크린 81건 최다… 파란이사 73건, KGB이자 46건 뒤이어
- 이태규 의원“손 없는 날 골라 이사가는 날… 업체횡포 막을 제도적 장치 마련해야”
포장이사운송서비스 관련 피해구제 신청건수가 지난 5년간 2,128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태규 의원(바른미래당/정무위원회)이 한국소비자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포장이사운송서비스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2,128건이 접수됐다. 지난해 접수건수는 455건으로 2014년(372건) 대비 22% 증가했다.
[표1] 포장이사운송서비스 피해구제 신청현황(2014년~2018년)
※ 표 : 첨부파일 참조
업체별로는 영구크린이 81건으로 최다를 기록했다. 이어 파란이사 73건, KGB포장이사 46건, 통인익스프레스 42건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와 관련해 소비자원은 포장이사 업체의 종류가 다양해 피해구제 신청건수 대비 업체별 건수가 적다고 설명했다.
[표2] 포장이사운송서비스 업체별 피해구제 신청현황(2014년~2018년)
※ 표 : 첨부파일 참조
피해유형별로는 계약불이행 등 계약 관련 피해가 1,261건(59%)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품질·AS 관련 피해가 548건(26%)으로 뒤를 이었다.
[표3] 포장이사운송서비스 피해구제 피해유형별 현황(2014년~2018년)
※ 표 : 첨부파일 참조
사례별로 살펴보면 포장이사 업체가 이사 과정에서 물품 파손으로 소비자의 금전적 피해가 발생했지만 업체가 피해에 대한 배상을 거부한 사례가 많았으며 업체의 과실로 발생한 피해에 대해 배상을 거부하거나 연락을 회피한 경우도 있었다. 이외에도 소비자가 포장이사 업체의 추가 비용 요구를 거절하자, 업체가 일방적으로 계약금을 환급하고 떠나 버린 사례도 존재했다.
※ 표 : 첨부파일 참조
피해구제 처리결과는 절반 이상이 실질적인 피해 보상으로 이어지진 않았다. 전체의 56%에 해당하는 1,195건이 정보제공, 상담·기타, 취하중지, 처리불능 등 미합의로 처리됐다. 정보제공과 상담·기타와 같은 단순 정보 안내가 822건으로 가장 많았다. 사실상 피해구제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표4] 포장이사운송서비스 관련 피해구제 처리결과별 현황(2014년~2018년)
※ 표 : 첨부파일 참조
이태규 의원은 “우리나라는 이사를 ‘손 없는 날’에 가야 한다며 이사 가는 날을 대단히 신중하게 선택하고 있는 상황인데, 포장이사 업체의 일방적인 계약 취소로 일정에 차질이 생기면 다른 업체를 알아보는 것도 쉽지 않다”며 “포장이사 업체의 명백한 과실로 발생한 피해 배상을 거부하거나 회피로 소비자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소비자원의 역할 강화 및 소비자 편익중심의 계약서 작성 등 적극적인 제도적 구제장치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끝>
※참고자료- 한국소비자원 피해구제 처리결과별 용어 설명
※ 참고자료 : 첨부파일 참조
목록
이전글
사회적경제와 공공기관의 사회가치 실현방안 정책 포럼 개최
다음글
제2경인선 광역철도 주민설명회 참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