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주제별 큐레이션

상임위원회별 최신 자료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

국가전략정보포털

해외 불법 복제 웹사이트 접속 차단 : 미국 의회의 오랜 과제

국가전략정보포털

User Guide to the 2024 Natality Public Use File

국가전략정보포털

(2025) 미국 개황

국가전략정보포털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대응. 2,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산업별 과제와 대응 방안

국가전략정보포털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대응. 1, 총론

국가전략정보포털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대응. 6, 해외 주요국의 탄소중립 정책

국가전략정보포털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대응. 5, 기후위기 대응 거버넌스 개편 동향 및 시사점

국가전략정보포털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대응. 3,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 및 재정사업 분석

국가전략정보포털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대응. 4, 주요국의 국가감축목표 논의동향과 국회의 역할

국가전략정보포털

기존 시설물(기초 및 지반) 내진성능평가 예제집

국가전략정보포털

정책건의 자료집 : 2025년 제1차 : 안보환경 대격변기 통일공감대 확산 방안

국가전략정보포털

신영역 작전개념과 연계한 한반도 미사일 전략 연구

국가전략정보포털

2025 한반도 정세 전망

국가전략정보포털

The challenge of grids in the clean industrial deal and affordable energy action plan : an incomplete answer to a key problem

국가전략정보포털

영국의 창조산업 :웨일스 클러스터 프로젝트와 미디어 캄뤼를 중심으로

국가전략정보포털

[읽어주는 NABO 보고서] 세금 낭비 막으려면? 지자체 국고보조금사업 체크

국가전략정보포털

[읽어주는 NABO 보고서] 190개 지자체가 함께 쓰는 지역사랑상품권, 지방비 부담률 차등화 필요

국가전략정보포털

The United States Needs Data Centers, and Data Centers Need Energy, but That Is Not Necessarily a Problem

국가전략정보포털

5060 중장년 유망 자격 TOP 10

국가전략정보포털

10ㆍ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의 주요 내용과 과제

국가전략정보포털

[읽어주는 NABO 보고서] 프로그램 예산제도 성과관리, 잘 돌아가고 있을까?

국가전략정보포털

2025 Report to Congress of the U.S.-China Economic and Security Review Commission

국가전략정보포털

2025 Report to Congress of the U.S.-China Economic and Security Review Commission : Executive Summary and Recommendations

국가전략정보포털

From Plausible Tomorrows to Prompt Action on AI: Dealing with AI-Augmented Risks to Dutch National Security

국가전략정보포털

Is video watching bad for kids? the effect of video watching on children's skills

국가전략정보포털

G20 South Africa Summit: LEADERS’ DECLARATION

국가전략정보포털

Management of Spent Fuel from Nuclear Power Reactors

국가전략정보포털

국민 수용도와 협력을 제고하는 보건의료 개혁을 위한 효과적 커뮤니케이션 전략

국가전략정보포털

AI governance at the frontier : unpacking foundational assumptions

국가전략정보포털

이슈 키워드 TOP 10

(AI시사분석 아르고스가 국회 관련 최신 뉴스를 분석하여 추출한 이슈 키워드입니다 )

신간도서

고지도를 통해 보는 대한민국의 영토, 독도 - 국회도서관, 독도 관련 고지도 3점 제시

국회도서관은 11월 24일(월),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증명할 수 있는 고지도 3점을 제시했다.

첫 번째, 「ROYAUME DE CORÉE(조선왕국도)」(1735)는 당빌(Jean Baptiste Bourguignon d' Anville, 1697–1782)이 제작한 지도이며, 프랑스의 예수회 신부 뒤알드(J. B. Du Halde, 1674-1743)가 집필한 『중국통사』의 마지막 제4권에 수록돼 있다. 해당 지도에는 울릉도와 독도가 한국령으로 표기되어 있다. 제4권에는 한국 관련 내용을 담은 레지(J. B. Regis, 1663-1738) 신부의 비망록과 당빌이 제작한 「ROYAUME DE CORÉE(조선왕국도)」가 함께 실려 있다. 이 지도는 서양에서 한국이 단독으로 그려진 최초의 한국 전도이다.

동해안 해안 Ping-hai(평해) 앞 가까운 바다에는 작은 섬 두 개가 그려져 있으며, 왼쪽 섬에는 'Tchiang-chan-tao', 동북쪽 섬에는 'Fan-ling-tao'라고 표기했다. 'Tchiang-chan-tao'는 우산도(于山島)의 '우'자를 '천(千)'으로 읽은 '천산도(千山島)'의 중국 발음이며, 'Fan-ling-tao'는 울릉도(鬱陵島)의 '울(鬱)'자를 '반(礬)'자로 읽은 '반릉도(礬陵島)'의 중국 발음으로 각각 독도와 울릉도를 가리킨다.

<「ROYAUME DE CORÉE(조선왕국도, 1735)」>

두 번째,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1811)는 나가쿠보 세키스이(長久保赤水)가 제작한 「신각일본여지노정전도」(1775)의 개정 제3판 지도이다. 일본 외무성은 1846년판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를 근거로 일본이 독도를 자신들의 영토로 인식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그보다 35년 전에 제작된 국회도서관 소장 판본에서는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과 동일하게 경위도선 바깥에 그리고 아무 색도 칠하지 않고 있어, 두 섬을 일본 영토가 아니라 조선의 영토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1811)>

세 번째, 「대한여지도」는 1900년경 대한제국 학부(學部) 편집국에서 학교 교육용으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한국 지도다. 이 지도에는 울릉도 오른쪽 작은 섬에 '우산(于山, 독도)'이라고 표기하고, 강원도와 동일한 파란색을 칠해 독도가 대한 제국의 영토임을 표시했다.

<「대한여지도」>

국회도서관은 2009년부터 독도 관련 고지도 구입사업을 추진해, 독도의 영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지도를 포함해 총 107점의 고지도를 구입했다. 또 일본에서 제작된 고지도 가운데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지도인 「삼국통람여지노정전도」(1785), 이 지도의 프랑스판 번역본인 「CARTE DES TROIS ROYAUMES(삼국총도)」(1832) 등은 기증받아 소장하고 있다.

국회도서관이 수집한 독도 관련 고지도는 국회 의정관 3층 국회도서관 디지털정보센터 내 「독도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독도자료실」은 국내외에 산재돼 있는 독도 관련 자료를 수집·통합해 관리함으로써, 국회의원의 입법 활동을 지원하고 대한민국의 독도 영유권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전문 자료실이다.

현재 「독도자료실」은 국제사법재판소 판결집, 국제해양법 판례집을 포함해 독도 관련 단행본 8,858책, 정기간행물 1,429책, 고지도 651점을 포함한 지도 958점을 소장하고 있다. 특히 독도 관련 고지도는 국회전자도서관의 원문 구축 사업을 통해 디지털화되며, 이 중에서 저작권법상 문제가 없는 자료는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다.

국회도서관의 독도 홈페이지(https://dokdo.nanet.go.kr/dokdo)에서는 독도와 관련된 국내․외 학술논문, 단행본, 학위논문 등을 정리해 "독도문헌총목록"의 형태로 제공하고 있으며, 독도 관련 전문 학술지 목록과 최근 연구 성과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국회와 독도" 코너에서는 독도와 관련된 법률안과 국회의 결의안, 본회의 및 상임위원회에서의 독도 관련 논의 내용을 제공하고 있으며, 독도 관련 정책 세미나와 국회의원들의 활동 동향도 파악할 수 있다. 그밖에 "독도 소식" 코너에서는 독도 관련 언론 기사를 정리하여 제공한다.

황정근 국회도서관장은 "국회도서관은 국회가 독도의 영유권 문제에 대해 학술적 근거와 정제된 증거 자료를 바탕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보 무기고(Info-Arsenal)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앞으로도 독도 관련 고지도 확충에 힘쓰는 한편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국회는 물론 국민들의 독도 영유권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끝>

2025.11.24

영국의 창조산업 : 웨일스 클러스터 프로젝트와 미디어 캄뤼를 중심으로 - 국회도서관, 『최신외국정책정보』(2025-22호, 통권 제22호) 발간

국회도서관(관장 황정근)은 11월 24일(월) 영국 창조산업을 주제로 『최신외국정책정보』(2025-22호, 통권 제22호)를 발간했다. 이번 호에는 웨일스 클러스터 프로젝트와 미디어 캄뤼 사례를 다루고 있다.

영국의 중앙부처인 문화·미디어·스포츠부는 창조산업을 ‘개인의 창의성, 기술, 재능에 기반을 두고 지식재산권 생성 및 개발을 통해 국가의 부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산업’으로 정의하며, 이를 8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지정해 지속적으로 지원해왔다.

특히 2025년 1월 영국 정부는 영국 전역에 걸친 수백 개의 창조기업과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6,000만 파운드 규모의 지원 패키지를 발표했으며, 이 패키지에는 스타트업 비디오게임 스튜디오, 음악·영화 수출기업 및 지역별 창조기업에 대한 4,000만 파운드 규모의 투자가 포함된다.

영국은 1970년대 이후 웨일스의 광업 및 제조업 중심의 전통 산업 쇠퇴를 경험했으나, 카디프대학 창조경제센터(Centre for the Creative Economy) 주도의 웨일스 클러스터 프로젝트(2018∼2023년)를 통해 창조산업 생태계를 발전시켰다.

또한 미디어 캄뤼(Media Cymru)는 5,000만 파운드 규모의 5개년(2022∼2027년) 프로그램으로, 카디프 수도권 미디어 분야의 성장·혁신을 촉진하며 친환경 및 공정한 경제성장과 함께 글로벌 미디어 혁신 허브로의 전환을 이끌어 가고 있다.

김현주 국회도서관 해외자료조사관은 “영국 정부의 적극적 지원으로 창조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총부가가치는 1,230억 파운드(국가경제생산의 5.37%)”라고 밝혔다. 이어 “이 비중은 2010년 4.7%에서 지속 증가한 결과로써 영국은 미국·아일랜드에 이어 세계 3대 창조산업 서비스 수출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현은희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실장은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전환기적 시대에 창조산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며, “영국 정부의 구체적인 지원 정책은 우리나라에도 좋은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끝>

2025.11.24

보도자료 더보기
[팩트북] 아르고스로 보는 글로벌 인구이동과 이민정책
1 / 2